본문 바로가기
Project/Essay

13. 비판정신 [Essay]

by sonpang 2021. 11. 5.
반응형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비판적 해석을 시도할 때, 비판하는 주체의 자리는 어디에 놓여 있는가? 비판 하는 주체의 자리는 확고한 진리의 기준점인가, 비판의 대상이나 상황으로부터 거리를 둔 가치중립적인 지 점인가,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윤리적 우위의 지점인가?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비판하는 나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답해 보시오.

 

 

제시문의 사진은 비판하는 주체와 대상은 서로 환원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사진은 비판이 끊임없는 순환이라서 무의미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한다. 회의주의 논변들이 그러하 듯 지식으로의 가능성과 근거를 확보하다 보면 무한 퇴행이나 순환에 빠진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우리가 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인류 문명이 쌓아온 지식의 정당성을 확보할 길은 없다. 그렇다면 제시문에 대한 질문을 답한다면 우리는 비판의 순환적 특성 속에서 비판의 가치와 진면목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비판하는 주체의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윤리적 우위의 지점이기 보다 가치중립적인 지점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비판의 대상이나 상황으로부터 거리를 두었다는 제시문에는 동의하지 않는데, 비판하는 주체는 자신에 대한 진리를 말하거나 비판을 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과 기조나 정치인들의 자녀 병역, 특혜 문제는 ‘내로남불’이라는 수식어가 붙으면서 국민들의 비판대상이 되어왔다.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의 순환고리에 해당하는 사례로 들어보겠다. 탈원전 정책은 청정에너지 시대를 열겠다며 추진하는 정책이다. 또한 동일본대지진에서 본 원전의 파괴력은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는 이유로 원전운용을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정부는 해외로 기술 세일즈에 나서고 있는데 이 점이 비판의 순환고리에 빠지게 하는 요소이다. 원전이 친환경적이지 않고 파괴력 때문에 국내에서 원전을 짓지 않는다면, 원전 기술 수출을 위한 명분은 무엇인가? 극단적으로 다른 나라들은 환경파괴가 일어나도 그 나라만의 문제이고 원전사고가 발생하여도 괜찮다는 것인지 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장기적인 국가 에너지 정책 변화를 통해 친환경을 추구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정책의 시행이 비교적 단기간이라는 문제는 있을 수 있어도 큰 틀에서는 반박의 여지가 없다. 비판이 순환고리에 빠지기 쉽다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이를 거시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순환고리에서 탈출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비판은 꼭 이분법적인 사고와 양자택일의 문제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고 공론장으로의 역할을 하면서 사회적 여론을 만들고 담론을 이끌어 간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비판적 해석을 시도할 때, 비판하는 주체는 반드시 비판에서 자유로울 필요는 없다. 비판하는 우리도 비판하는 대상이나 상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부정하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 다만 제 3자입장이나 가치중립적인 시점은 비판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즉, 우리가 비판을 위해서 무결성을 증명해야 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주체라면 덜 감정적이고 더 논리적이라는 것을 대중에게 호소할 수 있다.

 

제시문의 최종적인 물음에 답해보자면 비판하는 나는 최소한 비판하려는 대상이나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인지 단계에는 도달하여야 한다. 비판은 공론장에서 다양한 의견 수렴을 돕는다는 측면에서 필요한 것이므로 그 필요성에 의해서 윤리적 우위의 입증 조건은 와해(조각)된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떳떳해야 할 필요는 없다. 단, 나 자신이 할 비판으로부터 자유롭다면 우리는 더 강하게 비판(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Project > E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합목적성과 법적 안정성의 충돌 [Essay]  (5) 2021.11.05
11. 비동시성의 동시성 [Essay]  (0) 2021.11.05
10. 벡터의 작용 [Essay]  (0) 2021.11.05
9. 육체자본 [Essay]  (0) 2021.11.05
8. 시각과 인식 [Essay]  (0) 2021.11.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