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ject/Essay13

13. 비판정신 [Essay]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비판적 해석을 시도할 때, 비판하는 주체의 자리는 어디에 놓여 있는가? 비판 하는 주체의 자리는 확고한 진리의 기준점인가, 비판의 대상이나 상황으로부터 거리를 둔 가치중립적인 지 점인가,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운 윤리적 우위의 지점인가? 다음 그림을 참조하여 ‘비판하는 나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답해 보시오. 제시문의 사진은 비판하는 주체와 대상은 서로 환원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사진은 비판이 끊임없는 순환이라서 무의미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한다. 회의주의 논변들이 그러하 듯 지식으로의 가능성과 근거를 확보하다 보면 무한 퇴행이나 순환에 빠진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우리가 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인류 문명이 쌓아온 지식의 .. 2021. 11. 5.
12. 합목적성과 법적 안정성의 충돌 [Essay] 현재 우리 사회에서 합목적성과 법적 안정성이 충돌하는 사례를 찾아보고, 그러한 충돌의 배경에 존재하는 이 시대의 가치관 및 법감정의 변화를 분석해 보시오. 법의 합목적성은 법이 그 시대의 사회나 국가의 이념에 부합하여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합목적 성의 핵심적인 요소는 정의이다. 그런데 법은 시대를 반영하고 시대를 규율하기 때문에 한 시대의 사회나 국가가 추구하는 가치와 목적에 따라 법(혹은 법적 정의)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 어 모든 살인죄에 대해 구별 없이 동등하게 처벌하는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존속살인죄’에 대해 가중처벌을 적용한다. 이는 동아시아의 지배적 이념이었던 유교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한국의 경우 유교적 이념이 와해된 오늘날까지도 그 영향력을 잃지 않고 있다. 한.. 2021. 11. 5.
11. 비동시성의 동시성 [Essay] 에른스트 블로흐의 ‘비동시성의 동시성’ 개념은 서로 다른 시간을 가리키는 두 개의 시계에 비유할 수 있 다. 아래의 키워드와 사진을 참고하여 우리의 삶에서 작동하는 두 개의 시계를 찾아보고, 두 개의 시계 사이에 존재하는 시차의 양상 및 그것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해 보시오. 경험, 기억, 마음, 역사, 신화, 문명, 종교, 이념, 가치관, 유행, 과학, 속도, 생체 리듬, 일상, 달력, 사건, 나이, 관습, 무의식 제시문에는 여러 키워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중 두 개의 시계로 대립되는 것은 기억과 역사, 과학이 나타내는 시계라고 생각한다. 역사를 기록하고 학습하는 것은 현실에서 직접 행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일들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해준다. 역사가들을 중심으로 한 인간들은 여러 사건들을 동일한 .. 2021. 11. 5.
10. 벡터의 작용 [Essay] 다음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주변의 공간 중 하나를 선택한 후 그 공간에 설계되어 있는 벡터의 작용을 분석해 보시오. 공간은 크기와 방향을 가진 욕망의 벡터가 다양한 방식으로 집합성을 형성하고 있는 장으로 볼 수 있다. 공간은 이러한 벡터들의 작용을 통해 우리의 신체 및 행동을 지배하고 구성해낸다. 이러한 벡터의 작용은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공간에 명료한 차이를 배분함으로써 공간을 소비하고 있는 사람들을 차별화·개별화·계층화하는 벡터가 있다. 공간은 결코 균질공간이 아니며, 벡터의 선분에 의해 나누고 구획되어 있 다. 가령 소비의 계층성을 규정하는 경제적인 벡터는 의식주, 교육, 여가 등 여러 방면에 걸친 생활 패턴을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둘째, 차별화하는 벡터와는 정반대로 개인의 신.. 2021. 11. 5.
9. 육체자본 [Essay] 다음 글을 참조하여 우리 사회에서 자신의 몸을 ‘육체자본’으로 만들기 위한 몸 사용 사례를 [보기1]의 다양 한 범주에서 찾아보고, [보기2]의 네 개의 입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제시해 보시오. 병원, 정신병자 수용소, 감옥, 병영, 공장으로 이루어진 푸코의 규율사회는 더 이상 오늘의 사회가 아니다. 규율사회는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고 그 자리에 완전히 다른 사회가 들어선 것이다. 그것은 피트니스 클럽, 오피스 빌딩, 은행, 공항, 쇼핑몰, 유전자 실험실로 이루어진 사회이다. 21세기의 사회는 규율사회에서 성과 사회로 변모했다. 이 사회의 주민도 더 이상 “복종적 주체”가 아니라 “성과주체”라고 불린다. 그들은 자기 자 신을 경영하는 기업가이다.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을 갈라놓는.. 2021. 11. 5.
8. 시각과 인식 [Essay] 아래 사진은 미국의 사진작가 신디 셔먼의 「무제 영화 스틸」 연작 중 하나이다. 거울에 비친 자신을 보고 있는 저 여성은 자신의 눈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생성되고 문화적으로 내면화된 타자의 시선 을 통해 자기 자신을 바라보고 있다. 본다는 것에는 사회적·문화적·역사적으로 형성된 ‘보는 방식’이 결합되 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진이나 광고 이미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 후, 그 이 미지에 타자의 시선이 어떤 방식으로 개입되어 있는지 분석해 보시오. 아래 사진은 SAMSUNG 광고 중 하나이다. 배경에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7가지의 예를 들고 말풍선으로 홍보하고자 하는 바를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광고에서 주목할 만한 2가지는 QR코드와 #(hashtag.. 2021. 11. 5.
반응형